미니앱은 무엇인가요?
구성 요소와 호환성 #
미니앱은 아주 작으며 (주로 2-4 MB) 구동되기 위해 슈퍼앱이 필요해요. 대부분의 미니앱은 HTML, CSS, 그리고 JavaScript를 포함한 웹 기술들(혹은 그 "방언"들)로 만들어진다는 점이 비슷해요. 미니앱의 구동 런타임은 슈퍼앱의 웹뷰 화면이기에 크로스플랫폼하게 구동돼요. 그래서 똑같은 미니앱은 똑같은 슈퍼앱 안에서 그게 안드로이드든, iOS든, 또 다른 OS이든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어요. 하지만 모든 미니앱이 모든 슈퍼앱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살펴봐요.
미니앱의 발견 #
미니앱은 어떤 중요한 일을 하는 과정에서 브랜딩된 2D 바코드 등으로 우연히 발견돼요. 예를 들어 식당에 가서 메뉴를 보며 결제 미니앱을 열거나, 전동 킥보드를 빌리기 위해 킥보드 대여 미니앱을 여는 것처럼요. 아래 사진은 WeChat의 데모 미니앱을 여는 2D 바코드의 예시예요. WeChat 슈퍼앱으로 바코드를 스캔하면, 미니앱이 바로 실행돼요. 다른 슈퍼앱들은 대부분 이 바코드를 인식하지 못할 거예요.

또한 미니앱은 슈퍼앱 내에서 채팅 메시지나 뉴스 피드 등에서도 발견될 수 있어요. 어떤 슈퍼앱들은 공인 계정들이 미니앱을 자신들의 프로필에 포함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도 해요. 미니앱들은 사용자들이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을 때나 (매장 앞에 서있는 등) 사실상 가까이 있을 때 (그 매장으로 가는 길을 찾고 있을 때 등) 사용자에게 추천되어 발견될 수도 있어요. 자주 사용되는 미니앱들은 주로 슈퍼앱을 스와이프-다운해서 나오거나 별도의 영역에 있는 앱 서랍에 고정되어 접근할 수도 있어요.
사용자 경험 #
모든 슈퍼앱은 미니앱을 위해 사실상 똑같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요. 상단바의 테마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미니앱의 이름을 나타내고, 상단 오른쪽 구석에는 닫기 버튼과 액션 버튼(주로 공유, 즐겨찾기, 신고, 피드백, 설정 등)이 존재해요. 아래 스크린샷은 Alipay 슈퍼앱에서 동작하는 쇼핑 미니앱과 액션 버튼의 메뉴들을 보여줘요.

UI 패러다임 #
미니앱의 하단에는 주 내비게이션을 위한 하단바가 주로 존재해요. 대부분의 슈퍼앱들은 미니앱들의 빠른 개발 구현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캐러셀, 아코디언, 프로그레스 바, 스피너, 스위치, 지도, 등의 공용 UI 패러다임 컴포넌트를 제공해요. 이런 공용 컴포넌트는 서로 다른 미니앱들의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만드는 것에도 매우 좋고, 이는 WeChat의 미니앱 디자인 가이드라인에도 권장돼요. Apple Human Interface Guidelines과 Google의 Design for Android 권장 사항과 달성하려는 목표가 비슷해요.

서빙 #
미니앱은 조각 조각 별도의 리소스로 서빙되지 않고,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암호화된 패키지로 서빙돼요. 일반적인 웹앱과 달리 미니앱 개발자의 서버(origin)에서 서빙되는 것이 아니라 슈퍼앱 제공자로부터 직접 제공돼요. 물론 미니앱 개발자들의 서버 등과 API를 통해서 통신을 할 수는 있지만, 핵심 자원(주로 App Shell이라고 불러요)들은 슈퍼앱 제공자를 통해서 전달돼야 해요. 또한 미니앱은 자신들이 정보를 요청할 서버(origin) 주소들 미리 명시적으로 작성해야 해요.
캐싱, 업데이트, 그리고 딥 링킹 #
미니앱은 슈퍼앱 내에 캐시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자가 다음 번에 미니앱을 재실행하면 거의 즉시 실행돼요. 만약 업데이트 사항이 있다면 새로운 앱 패키지가 실행돼요. 버전 번호는 실행 URI의 일부가 될 수도 있어요 (미니앱의 발견 참고). 이렇게 되면 슈퍼앱이 로컬 캐싱된 미니앱이 최신 버전인지 아닌지 빠르게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실행 URI는 또한 미니앱 내의 특정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마치 딥 링크처럼 담고 있을 수도 있어요. 사이트맵을 통해 미니앱의 어느 페이지가 슈퍼앱의 크롤러에 의해 발견될 수 있는지 명시할 수도 있어요.

저장 공간과 권한 #
미니앱은 슈퍼앱 제공자에 의해서 리뷰되기에 사용자들은 일반적인 웹앱보다 미니앱을 더 안전하다고 인식하게 돼요. 미니앱들은 Manifest 파일이나 별도의 설정 파일을 통해서 미니앱이 사용할 권한들과, 경우에 따라 그 권한이 필요한 이유까지 명시해야 해요. 물론 이 정보들을 허위로 작성할 수도 있겠지만, 사용자들이 납득할 만한 이유 없이 권한을 접근하는데 어려움을 겪을거예요. 마치 정당한 이유 없이 모션 센서에 접근하는 것처럼요. 또한 웹앱과 비해 미니앱 제공자들은 굳이 사용자를 식별(fingerprinting)하기 위해 노력할 이유가 없어요. 사용자들은 대부분 슈퍼앱을 통해 이미 로그인된 상태이기 때문이에요. (신원, 결제 정보, 소셜 그래프 참고)
미니앱이 특별한 권한을 요청할 때는 권한 요구 창이 사용자에게 제시돼요. 플랫폼 제공자가 의무화할 경우 개발자는 권한 요구 이유까지 포함하여 작성하게 돼요. 아래 스크린샷은 Douyin 데모 미니앱이 위치 확인 권한을 사용자에게 묻는 장면이에요. 어떤 슈퍼앱에서는 미니앱들이 특정 권한이 허용되었는지 확인하거나 권한을 미리 요청하는 Imperative API 등을 제공하기도 해요. 심지어 어떤 슈퍼앱들은 슈퍼앱의 권한 설정 페이지를 여는 API를 제공하기도 해요 (마치 Chrome의 *페이지 설정*처럼요. 미니앱은 또한 자신들이 통신하는 모든 서버(Origin)들을 미리 명시해야 해요.

강력한 기능 접근 #
미니앱을 호스팅하는 슈퍼앱은 JavaScript 브릿지를 통해 강력한 API 등을 미니앱에 제공해요. 이 JavaScript 브릿지는 운영 체제의 API에 접근하는 다양한 Hook을 제공해요. 예를 들어, 미니앱은 현재 연결된 활성 Wi-Fi 정보를 반환하는 getConnectedWifi()
같은 JavaScript 함수를 제공할 수 있어요. 그 구현은 안드로이드의 경우 getConnectionInfo()
로, iOS의 경우 CNCopyCurrentNetworkInfo()
로 구현되고요. 슈퍼앱은 이 뿐만 아니라 더 다양한 기기 API들을 제공할 수 있어요 (예: 블루투스, NFC, iBeacon, GPS, 시스템 클립보드, 방향 센서, 배터리 정보, 캘린더 접근, 전화번호부 접근, 화면 밝기 조절, 파일 시스템 접근, 물리적 피드백을 위한 진동 하드웨어 접근, 카메라와 마이크 접근, 화면 녹화와 스크린샷 생성, 네트워크 상태, UDP 소켓, 바코드 인식, 기기 메모리 정보 등)

클라우드 서비스 접근 #
여러 슈퍼앱들은 텍스트 번역, 사물 인식, 이미지 분류, 음성 인식, 또는 다양한 머신러닝 작업 등의 고차원 작업들을 돕기 위해 주 컴퓨팅 자원과 별도로 서버리스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영해요. 미니앱은 또한 슈퍼앱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어요. 슈퍼앱 제공자들은 미니앱 개발자들이 미니앱 사용 패턴을 이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지표를 제공하기도 해요.
신원, 결제 정보, 소셜 그래프 #
미니앱의 아주 중요한 기능은 슈퍼앱을 통해서 제공되는 신원과 소셜 그래프 정보예요. Douyin과 WeChat 같은 슈퍼앱들은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로 시작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온라인 신원(identity)과 친구 관계, 그리고 개인 정보를 가지고 있어요. 어떤 사용자들은 정부로부터 공인(verified)되기도 했고요. 예를 들어, 어떤 쇼핑 미니앱은 사용자의 동의 아래 사용자의 집 주소와 전화번호, 실명 등을 사용자들이 하나하나 힘들게 입력하지 않도록 슈퍼앱으로부터 직접 받을 수 있어요. 아래 사진은 WeChat 안에서 구동되는 Walmart 미니앱이 첫 실행에 개인화된 화면과 어디서 많이 본 사용자 사진을 보여주는 모습이에요.

미니앱은 게임 내에서 자신의 최고 기록 같은 업적이나 연락처의 친구에게 도전하는 등이 방식으로 엄청난 인기를 얻을 수도 있어요. 그 경우 미니앱은 딱 한 번의 탭으로 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어떤 불편함이나 방해 요소 없이 미니앱에 도달할 수 있어요.
감사의 말 #
이 글은 Joe Medley, Kayce Basques, Milica Mihajlija, Alan Kent, 그리고 Keith Gu에 의해 리뷰되었어요.